영국 UCL 존 오키프 교수, 노르웨이과기대 부부 과학자 모세르 교수 커플 수상
‘뇌 속 GPS’ 발견한 뇌 신경과학자들 수상

2014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영국 UCL 존 오키프 교수
▲ 2014 노벨생리의학장 수상자인 존 오키프
     영국 UCL 교수. - 노벨재단 제공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뇌 신경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는 존 오키프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교수(75)와 노르웨이과학기술대(NUST)의 부부 과학자인 마이브리트 모세르 교수(51), 에드바르드 모세르 교수(52)를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 부부 과학자 수상은 1903년 퀴리 부부 이후 역대 네 번째다.

노벨위원회는 “‘뇌 속 GPS’로 불리며 뇌가 장소를 인지해 다른 장소로 찾아갈 수 있게 만드는 ‘장소세포(place cell)’를 찾아낸 공로를 높이 평가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미국 태생으로 미국 국적뿐 아니라 영국 시민권도 있는 오키프 교수는 1971년 뇌 속 해마에 존재하는 장소세포가 현재 위치를 기억할 수 있게 한다는 사실을 처음 알아내 뇌 전문 분야 학술지 ‘뇌 연구(Brain Research)’에 논문을 발표했다. 장소세포는 출근길에 만나는 가로등과 같은 특정 지표를 기억했다가 가로등을 마주쳤을 때 작동하는 방식으로 현재 위치를 인지할 수 있게 해준다.

오키프 교수에게 박사 논문을 지도 받은 곽지현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는 “오키프 교수의 발견으로 해마가 기억뿐 아니라 장소 정보를 처리한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됐다”고 설명했다.

공간을 제대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특정 위치 파악 외에 전체 공간에서 현재 위치가 어디쯤인지도 알아야 한다. 지도에서는 위도와 경도가 이런 역할을 한다. 모세르 부부는 뇌에서 위도와 경도 역할을 담당하는 ‘격자세포(grid cell)’를 내후각피질에서 찾아내 2005년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격자세포는 뇌가 공간을 일정 간격으로 나눠 위치를 파악하도록 돕는다.
2014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마이브리트 모세르 교수(왼쪽)와 에드바르드 모세르 교수
▲ 2014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마이브리트 모세르 교수(왼쪽)와
     에드바르드 모세르 교수. - 노벨재단 제공
해마 전문가인 김진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은 “장소세포는 특정 위치에 있을 때 활성화되는 신경세포”라며 “알츠하이머 환자는 장소세포와 격자세포가 오작동을 일으켜 공간지각 능력이 망가지면서 길을 잃는 만큼 관련 질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에게는 총 800만 크로나(약 11억8000만 원)의 상금과 메달, 상장이 주어진다. 상금은 오키프 교수와 모세르 부부에게 절반씩 돌아간다. 노벨상 시상식은 창시자인 알프레드 노벨의 사망일인 12월 10일 열린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는 물리학상(7일), 화학상(8일), 문학상(9일), 평화상(10일), 경제학상(13일) 순으로 발표된다.

한편 존 오키프 교수는 20~21일 서울대에서 열리는 ‘제1회 기초과학연구원(IBS)-영국왕립학회 리서치 컨퍼런스’에 연사로 참석할 예정이다.
이우상 기자 idol@donga.com | 신선미 기자 vamie@donga.com
  • 2013 노벨생리의학상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
    이번에 노벨 생리의학상이 발표된 뒤, ‘네이처’가 가장 먼저 인터뷰한 사람은 빌 위크너라는 과학자였다. 미국 다트머스대에 있는 필자의 지도교수인데 세 명과 두루두루 친분이 많았다. 덕분에 필자도 수상자들을 직접 만나거나 이야기를 자주 들었다. 그러나 보니 사생활도 조금 들었는데 공교롭게도 수상자인 랜디 셰크먼 교수의 아내가 바로 위크너 교수의 전 여자친구다. 우리네 정서에는 다소 민망한 상황인데도 위크너 교수는 종종 이 이야기를 꺼낸다.

    기사원문보기
  • 2012 노벨생리의학상

    체세포의 시계는 거꾸로 간다
    생명체를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인 세포. 인체에는 약 60조 개의 세포가 있으며 그 종류는 약 220가지에 이른다. 수많은 세포는 우리 몸을 이루며 각각 특정한 기능을 수행해 생명활동을 유지시킨다. 놀라운 점은 이 모든 세포가 정자와 난자가 만나 탄생한 수정란이란 단 하나의 세포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또 한 가지 주목해야할 점은 몇 종류를 제외한 인체의 거의 모든 세포가 끊임없이 새로운 세포로 교체된다는 사실이다.

    기사원문보기
  • 2011 노벨생리의학상

    “ 병원균이 침입했다” 경보기 발견
    우리는 지구의 주인이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만약 외계인이 지구를 방문한다면 어떻게 생각할까. 지구에 살고 있는 생명 가운데 가장 많은 미생물을 지구의 주인이라 생각할 것이다. 미생물은 지구의 모든 곳에서 발견된다. 화산처럼 뜨거운 곳이나 빙하처럼 차가운 곳, 우리가 먹는 음식, 우리 손, 우리 뱃속까지 어디서나 미생물을 볼 수 있다. 심지어 우리 몸을 이루는 세포(수십 조 개)보다 장 속에 들어 ...

    기사원문보기